



유방·갑상선 암 진료예약
02) 578-0051,0052
수술 후 보조치료
-
항암 화학 요법: Chemotherapy
-
선행 항암 화학 요법; Neoadjuvant Chemotherapy
-
표적 치료: Targeted Therapy
-
항 호르몬제 치료: Hormone Therapy
-
난소 기능 억제 제 치료법
-
방사선 치료(Radiotherapy)
유방 부위의 암 조직은 수술로 제거하고 숨어 있는 미세한 암세포를 제거하여 재발과 전이를 막아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추가적인 치료를 합니다.
수술 후 3-4주부터 시행하는데 항암 화학 요법, 방사선 치료, 항 호르몬제 치료, 표적 치료가 있습니다.
항암제 등 전신 치료법의 결정은 환자의 폐경 여부 등 전신 적 상태, 병기와 암세포의 특징, 호르몬 수용 체 유무, HER2 유전자 과 발현 여부 등에 따라 결정됩니다.
1.항암 화학 요법: Chemotherapy
항암제나 표적 치료는 부작용 등을 고려하여 환자의 상태에 따라 신중히 정해야 하며 조기 유방암 환자에게 온코타입 검사(OncotypeDx)가 항암제 치료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여러가지 항암제를 조합하여 투여합니다.
약품에 따라 3-4주 간격으로 4-8회를 투여하게 됩니다.
2.선행 항암 화학 요법:Neoadjuvant Chemotherapy
암의 크기가 크거나 유방 보존 술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수술 전 항암제를 먼저 투여하기도(선행 항암 화학 요법) 합니다. 암의 크기를 줄여서 수술을 용이하게 하거나 보존 수술을 가능하게 합니다. 연구 결과 선행 항암 요법은 수용 체 음성이거나 HER2 과 발현이 없는 삼 중 음성 환자에게 효과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나 있습니다.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항암제의 조합은 다음과 같으며 의료진이 환자의 다양한 상태를 고려하여 정하게 됩니다.
CMF (Cyclophosphamide+Methotrexate+5-fluorouracil)
CAF (Cyclophosphamide+Adriamycin+5-fluorouracil)
FAC ( 5-fluorouracil+Adriamycin+Cyclophdsphamide)
AC (Adriamycin+Cyclophosphamide)
AC+T (Paclitaxel or Docetaxel)
TAC (Docetaxel+Adriamycin+Cyclophosphamide) 등이 있습니다.
3.표적 치료: Targeted Therapy
유방의 세포 분열과 성장을 조절하는 성장 인자(Growth Factor)인 HER2/neu는 HER2 단백질을 생산하는 세포 속의 유전자입니다.
이 단백질이 정상 유방 세포의 증식과 성장을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유방암 환자의 약 20%는 HER2의 과한 공급(과 발현)이 나타나 HER2 positive(허 투 양성) 유방암이라고 하며 제어되지 못하는 상태로 암세포가 성장하게 됩니다.
HER2 양성인 환자는 표적 치료(targeted therapy)로 암세포를 제어할 수 있으며 주로 사용되는 표적 치료 약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Trastuzumab(Herceptin), Trastuzumab emtansine(Kadcyla)
Pertuzumab(Perjeta)
Adotrastuzumab-emtansine(T-DM1,Kadcyla)
Everolimus(Afinitor)
Lapatinib(Tykerb)
Palbociclib(lbrance) 등이 있습니다.
4.항 호르몬제 치료: Hormone Therapy
유방 세포의 중식에는 여성호르몬이 필요하며 암세포로 발전하려면 여성호르몬이 필요합니다. 일부 암세포는 여성호르몬이 없이도 증식합니다.
수용 체(receptor)라는 것은 세포 안에 있는 특수한 단백질로 이곳에 호르몬이 결합하여 세포의 증식과 성장을 촉진합니다.
암세포는 수용 체가 있는(수용 체 양성: receptor +) 것과 수용 체가 없는(수용 체 음성: receptor -) 것으로 나누어 집니다.
수용 체 양성의 유방암은 여성호르몬이 있어야 성장할 수 있습니다.
두 가지 수용 체 중 하나만 있어도 호르몬 수용 체 양성의 암이라고 하며 항 호르몬
치료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항 호르몬 치료제는 유방암 세포의 수용 체에 여성호르몬보다 강력이 결합하여 여성호르몬이 유방암 세포를 증식하지 못하게 하므로 수용 체 양성 환자에서 암세포를 죽게 하여 치료와 재발 억제 효과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항 호르몬 치료제는 타목시펜(Tamoxifen)으로 놀바덱스(Nolvadex), 타모플렉스(Tamoflex), 타목센( Tamoxen)이란 상품 명이 있습니다.
항암제 투여 후 시작하여 5년간 복용하며 생존율을 25% 증가 시키고, 재발률을 30%감소시키며 반대편 유방이 암 발생률도 40% 감소 시키는 중요한 치료제입니다.
부수적으로 골 밀도를 증가 시키므로 골다공증이 있는 여성에게 훌륭한 치료제입니다.
최근에는 5년 복용 후 5년추가로 복용하는 것이 유방암 재발 및 유방 관련 사망율을 낮추는 효과 가 증명되어 타목시펜 5년 치료 후에도 폐경 전 여성으로 림프 절 전이가 있었던 고 위험군 환자에겐 5년 연장 요법을 권유하고 있습니다.
난소 기능 억제 제 치료법
유방암은 여성호르몬에 의해 발생하고 성장합니다.
폐경 전 여성에게
여성호르몬은 주로 난소에서 생산되고 분비됩니다. 따라서 난소 기능이 억제되면 에스트로겐이 없으므로 암세포는 사멸 됩니다.
이런 이론에 기초하여 1)난소를 제거하거나 2)난소 기능 억제제를 투여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연구 결과 폐경 전이며 호르몬 수용 체가 양성인 조기 유방암 환자에서 난소 억제제와 타목시펜을 동시에 투여하여 항암 화학 요법과 동등한 효과가 있었습니다.
난소 기능 억제제로는
Goserelin(Zoladex)
Leuprolide(Leuprorelin, Lupron)
Triptorelin 등이 있습니다.
5.폐경 후 여성은
난소에서 에스트로겐 생산이 멈추며 아로마타제(aromatase)라는 효소에 의해
부신, 간 지방 조직 근육에서 적은 양의 에스트로겐이 생산됩니다.
이 호르몬에 의해 암세포가 성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로마타제 억제제(aromatase inhibitor)를 사용하여 에스트로겐이 생산되지 못하게 하므로 근본적으로 암세포 성장을 차단하게 됩니다.
아로마타제 억제제는 폐경 여성에겐 타목시펜보다 좋은 효과를 보입니다.
타목시펜 5년 복용한 고위험 폐경 환자에게 연장 보조 호르몬 치료법으로 권유 되고 있습니다.
부작용으로 근육통, 관절 통, 고 콜레스테롤 증, 골다공증, 심 혈관계 질환 및 뇌 졸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기도 합니다.
약물로는
anastrozole(Arimidex)
letrozole(Femara)
exemestane(Aromasin) 등이 있습니다.
6.방사선치료(Radiotherapy)
유방암은 여러 곳에 생기는 경우가 많아서 만져 지거나 검사 상 관찰된 암을 제거하더라도 20-30%에서 미세한 암세포가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방 보존 술을 받은 환자는 반드시 나머지 유방 조직에 방사선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암의 크기가 크거나 액와(겨드랑이) 림프 절 전이가 많아 국소 재발의 위험이 큰 환자에게도 시행합니다.
항암제 치료를 해야 한다면 항암제 치료가 끝나고 시행해야 합니다.
계획된 전체 유방 부위에 매일(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5분정도 방사선을 조사하며 5-6주간 지속됩니다.
치료 장비와 치료 기술의 발달로 심각한 합병증이나 후유증은 발생하지 않습니다.